부동산 누진세율이란 무엇일까 부동산 누진세율은 주택가격에 따라 과세 비율이 변동하는 세금제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주택 시장의 과열을 막고 부자들의 재산에 대한 과세 부담을 늘리기 위한 정책 중 하나로 시행됩니다. 일반적으로 주택 시가가 높을수록 고액의 누진세가 부과됩니다. 이러한 세율 적용은 소득세와 달리 소득이 아닌 재산가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의 거품을 억제하고 주택 보유자들의 재산 공평한 분배를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누진세율이 너무 높게 적용될 경우 부동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정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정부와 시장 참여자들 간의 균형 있는 의견 조율이 필요합니다. 부동산 누진세율은 사회적 공정성과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한 중요한 정책..
재산세 부과 기준일 6월 1일 부동산을 비롯한 몇몇 자산들은 보유하는 것만으로도 보유세를 냅니다. 보유세의 대표적인 것이 바로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입니다. 재산세에서 기억해야 할 것은 딱 하나 '6월 1일'이라는 날짜입니다. 재산세 부과 기준일이 바로 매년 6월 1일이기 때문입니다. 5월 31일까지 소유하고 있었더라도 6월 1일부터 소유권이 넘어가면 그 부동산에 대한 재산세는 내지 않아도 됩니다. 반면 6월 1일까지 소유하고 있다가 다음날인 6월 2일에 소유권을 넘겼더라도 재산세는 내야 합니다. 소유권이 이전되는 날짜의 기준은 등기 날짜와 잔금을 납부하는 날짜 중 더 빠른 날짜입니다. 따라서 부동산을 파는 사람 입장에서는 되도록 6월 1일 이전에 잔금을 받는 게 유리합니다. 반면 사는 사람 입장에서는 6..
실거래가와 시가표준액 세금을 계산하는 구조는 간단합니다. 해당 과세표준(과표)에 세율을 곱하면 됩니다. 과세표준은 과세의 기준이 되는 금액이고, 세율은 얼마나 내야 할지의 비율입니다. 당연히 세금의 종류마다 과세표준과 세율의 크기가 다릅니다. 그런데 부동산에서 과세표준으로 삼는 금액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실거래가이고 하나는 시가표준액(국세청에서 '기준시가'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입니다. 실거래가는 말 그대로 실제 매매가 이뤄진 금액으로, 세무당국에 신고된 금액입니다. 반면 시가표준액은 취득세, 등록세, 도시계획세 등 지방세의 과세표준이 되는 가액의 기준으로서 지방자치단체에서 정합니다. 과세표준을 실거래가 기준으로 하느냐, 시가표준액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과..
부동산 증여시 취득세 계산법 증여 취득세율도 대폭 인상되었습니다. 증여 취득세는 기본세율이 3.5%인데, 조정대상지역의 시가표준액 3억 원 이상의 주택을 증여할 경우에는 취득세율이 12%로 높아집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예외적으로 3.5%의 기본세율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증여하는 사람이 1세대 1주택자이고 소유 주택을 배우자나 직계존비속에게 증여하는 경우입니다. 이때 증여하는 사람만 1세대 1주택이면 되고, 증여를 받는 직계존비속은 보유한 주택 수가 많아도 상관이 없습니다. 다만, 2023년 부터 증여 시 취득세는 시가표준액이 아니라 시가인정액이라고 하여 감정평가액이나 매매사례가액 등 시기에 증여 취득세율을 곱해 계산합니다. 만약 주택 전체가 아닌 지분을 증여할 때는 취득 당시의 전체 주택가액을 ..